<!DOCTYPE html>
<html>
<head>
<meta charset="UTF-8">
<title>Insert title here</title>
<script type="text/javascript">
// 자바스크립트에서의 제어문 종류
// 1. 조건문 : if문, if~else문, 다중 if~else문, switch~case문
// 2. 반복문 : while문, do~while문, for문
let walk = Number(prompt("내가 하루에 걷는 걸음은 몇 걸음인가요?"));
if(walk >= 10000) {
document.write(typeof walk+"<br>");
document.write("당신은 매우 좋은 습관을 가지고 있습니다.");
}
document.write("<hr>");
let name = prompt("방문자의이름은???");
// 조건식에 0, null, "" ==> false
if(name) {
document.write(name + "님 환영합니다.");
}
</script>
</head>
<body>
</body>
</html>
<!DOCTYPE html>
<html>
<head>
<meta charset="UTF-8">
<title>Insert title here</title>
<script type="text/javascript">
// if~else 조건문
// 형식) if(조건식) {
// 참인 경우 실행문;
// }else {
// 거짓인 경우 실행문;
// }
let walk = parseInt(prompt("당신이 하루에 걷는 걸음은 몇 걸음인가요?"));
if(walk >= 10000) {
document.write("좋은 습관을 가지고 있습니다.<br>");
}else {
document.write("운동을 하셔야 겠군요...<br>");
}
let result = confirm("정말 탈퇴하시겠습니까?");
if(result) {
document.write("탈퇴 처리하였습니다.");
}else {
document.write("탈퇴 취소 처리하였습니다.");
}
</script>
</head>
<body>
</body>
</html>
<!DOCTYPE html>
<html>
<head>
<meta charset="UTF-8">
<title>Insert title here</title>
<script type="text/javascript">
// [문제] 키보드를 이용하여 사용자 아아디와 사용자 비밀번호를 입력받아서
// 입력 받은 사용자 아이디가 "hong"이고 입력받은 비밀번호가 "1234"
// 이면 "환영합니다." 라는 메세지를 화면에 출력해 보세요.
let userId = prompt("사용자 아이디를 입력하세요.");
let userPwd = prompt("사용자 비밀번호를 입력하세요.");
// 첫번째 방법
// if(userId == "hong" && userPwd == "1234") {
// document.write("환영합니다.<br>");
// }
// 두번째 방법
if(userId == "hong") {
if(userPwd == "1234") {
document.write("환영합니다.<br>");
}else {
document.write("비밀번호가 틀립니다. 확인해 주세요..<br>");
}
}else { // 아이디가 "hong" 이 아니거나 회원이 아닌 경우
document.write("아이디를 확인하거나 회원가입을 해 주세요..");
}
</script>
</head>
<body>
</body>
</html>
toFixed() : 숫자에서 원하는 소숫점 길이만큼만 반올림까지 해서 출력해 주는 함수.
<!DOCTYPE html>
<html>
<head>
<meta charset="UTF-8">
<title>Insert title here</title>
<script type="text/javascript">
// 다중 if~else문
// 키보드로 이름, 국어, 영어, 수학 점수를 입력을 받자.
let name = prompt("이름을 입력하세요.");
let kor = parseInt(prompt("국어점수를 입력하세요."));
let eng = parseInt(prompt("영어점수를 입력하세요."));
let mat = parseInt(prompt("수학점수를 입력하세요."));
// 총점을 구하자.
let sum = kor + eng + mat;
// 평균을 구하자.
let avg = sum / 3.0;
// 학점을 구하자.
let grade;
if(avg >= 90) {
grade = "A학점";
}else if(avg >= 80) {
grade = "B학점";
}else if(avg >= 70) {
grade = "C학점";
}else if(avg >= 60) {
grade = "D학점";
}else {
grade = "F학점";
}
// 성적을 화면에 출력해 보자.
// toFixed() : 숫자에서 원하는 소숫점 길이만큼만 반올림까지 해서 출력해 주는 함수.
document.write("이 름 : "+name+"<br>");
document.write("국어점수 : "+kor+"점<br>");
document.write("영어점수 : "+eng+"점<br>");
document.write("수학점수 : "+mat+"점<br>");
document.write("총 점 : "+sum+"점<br>");
document.write("평 균 : "+avg.toFixed(2)+"점<br>");
document.write("학 점 : "+ grade+"<br>");
</script>
</head>
<body>
</body>
</html>
<!DOCTYPE html>
<html>
<head>
<meta charset="UTF-8">
<title>Insert title here</title>
<script type="text/javascript">
// switch~case문
// 다중 if~else문을 switch~case문으로 변경할 수 있는 경우는
// if문 중 조건식이 특정한 값과 일치되는 경우(==)만 switch~case문을
// 사용할 수 있음.
// 즉, 조건식에 ==인 경우를 제외하고 >=, >, <=, <, != 과 같은
// 비교연산자를 사용한 경우에는 switch~case문으로 변경할 수 없음.
let site =
prompt("네이버, 다음, 구글 중 자주 사용하는 포털 사이트는???");
let url;
switch(site) {
case "네이버" :
url = "www.naver.com";
break;
case "다음" :
url = "www.daum.net";
break;
case "구글" :
url = "www.google.com";
break;
default :
alert("보기 중에는 없는 사이트입니다.");
}
if(url) {
location.href="http://"+url; // 페이지로 이동이 진행됨.
}else {
location.reload(); // 현재 페이지를 새로 고침.
}
</script>
</head>
<body>
</body>
</html>
Math.random(): 0에서 1사이의 랜덤 숫자를 발생시키는 함수
<!DOCTYPE html>
<html>
<head>
<meta charset="UTF-8">
<title>Insert title here</title>
<script type="text/javascript">
// 난수를 발생시켜서 추첨을 통해서 경품을 받게 해 보자.
// 요구사항
// 1부터 10 사이의 숫자를 랜덤하게 뽑아 보자.
// 3번 - 냉장고 당첨 / 5번 - 세탁기 당첨 / 8번이면 TV 당첨.
// 그 이외의 번호는 꽝!!!
// Math.random() 함수는 0에서부터 1 사이의 랜덤 숫자를 발생시키는 함수.
// Math.random() * 10 을 곱하면 0부터 9까지의 랜덤한 숫자를 구할 수 있음.
// 대신에 정수값이 아닌 실수로 나오기 때문에 parseInt() 함수를 이용하여
// 정수로 형변환을 해 주면 됨. 이 값에 1을 더해 주면 1부터 10까지의 난수를
// 받을 수 있게 됨.
let luckyNo = parseInt(Math.random() * 10) + 1;
switch(luckyNo) {
case 3 :
document.write("냉장고에 담첨이 되었습니다.<br>");
break;
case 5 :
document.write("세탁기에 담첨이 되었습니다.<br>");
break;
case 8 :
document.write("TV에 담첨이 되었습니다.<br>");
break;
default :
document.write(luckyNo +"가 나왔네요...<br>");
document.write("꽝입니다.~~~");
}
</script>
</head>
<body>
</body>
</html>
'Front > JavaScrip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JavaScript] 배열(Array) (0) | 2021.04.23 |
---|---|
[JavaScript] 반복문(while문, for문) (0) | 2021.04.23 |
[JavaScript] 논리 연산자, 단항(증감) 연산자, 삼항 연산자 (0) | 2021.04.23 |
[JavaScript] 기본 개념 (0) | 2021.04.22 |
[JavaScript] 관계 연산자 (0) | 2021.04.22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