* 형변환(Casting - 해당 데이터 값의 자료형을 다른 타입의 자료형으로 변환하는 것을 말함
- boolean형을 제외한 7개의 기본 자료형은 서로 형변환이 가능함.
- 1. 묵시적 형변환
=> 자료형의 크기가 작은 데이터를 큰 자료형의 데이터에 저장.
형변환 작업을 안 해 주어도 된다.
- 2. 명시적 형변환
=> 큰 자료형의 데이터를 작은 자료형의 데이터에 저장.
형변환 작업을 반드시 해주어야 한다.
자료의 손실이 발생할 수 있음.
* 정수형 : 일반 정수(숫자)
* 실수형 : 소숫점이 존재함 - float < double (기본형)
- float : 소숫점 이하 7(6)자리까지 표현이 가능함.
- double : 소숫점 이하 15~16 자리까지 표현이 가능함.
- float 자료형의 변수에 실수 값을 저장 시에는 반드시 실수 값 뒤에 f를 붙여 주어야 함(생략하면 error).
- 데이터의 맨 뒤에 f를 붙이거나 데이터의 앞에 (float) 명시를 안 하면 오류가 발생하는 이유
==> 실수형의 기본자료형은 double형이기 때문임.
- 실수 자료형에서 명시적 형변환을 진행하게 되면 자료의 손실이 거의 발생하지 않음.
* 단일 문자형 : char형(0 ~ 65535) ==> 2byte
- 자바에서는 유니코드 체계로 단일 문자가 처리 됨.
==> C 언어에서는 ASCII 코드 체계로 처리가 됨.
* 논리 자료형(boolean)형
- 참이나 거짓을 처리하는 자료형
- true : 참인 값.
- false : 거짓인 값.
- boolean형의 기본값은 false 값
- True / False (X) ==> 반드시 소문자로 작성해야 함.
* 출력 양식(printf() 메서드)
- %d : 정수값 출력
- %f : 실수값 출력
'Back > JAVA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제어문 - if문 - 분기문(조건문) (0) | 2021.02.25 |
---|---|
main 메서드를 이용한 키보드 입력 처리(Run Configurations) (0) | 2021.02.25 |
연산자 (0) | 2021.02.24 |
변수 기본 개념 및 int(정수형) 실습 (0) | 2021.02.23 |
SYSOUT 실습 (0) | 2021.02.23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