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Back/JAVA

연산자

by 시월해 2021. 2. 24.

1. 산술연산자
    - 덧셈(+), 뺄셈(-), 곱셈(*), 나눗셈(/), 나머지(%)

 


2. 관계연산자(비교연산자)
    - 크거나 같다(>=), 크다(>), 작거나 같다(<=), 작다(<), 같다(==), 같지 않다(!=)
    - 결과는 boolean형으로 반환됨 ==> true / false로 결과가 나옴.
    - 관계연산자는 제어문(조건문)에서 많이 사용되는 연산자.

 


3. 논리 연산자
    - 논리곱(&&) : 주어진 조건이 모두 참일 때 결과가 true가 됨.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그 나머지는 모두 false가 됨.

    - 논리합(||) : 주어진 조건 중 하나라도 참이면 결과는 true가 됨.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그 나머지는 모두 false가 됨.
    - 부   정(!) : true -> false가 되고 false -> true가 됨.
    - 논리연산자는 우선적으로 관계연산자를 실행한 후에 그 결과값을 가지고 논리연산을 수행하게 됨.

 


 4. 단항연산자 / 이항연산자 / 3항연산자
      - 단항연산자 : 1개의 항을 대상으로 연산을 수행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ㄱ) 전위연산자 : 단항연산자가 변수명 앞에 온다.(++su2)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변수의 값을 하나 증가 또는 감소 시킨 후 처리한다.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ㄴ) 후위연산자 : 단항연산자가 변수명 뒤에 온다.(su1++)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변수를 처리한 후에 값을 하나 증가 또는 감소 시킨다.
     

      - 이항연산자 : 2개의 항을 대상으로 연산을 수행.
     

      - 3항 연산자 : 3개의 항을 대상으로 연산을 수행. 간단한 조건문 대신에 사용할 수 있는 연산자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형식) (조건) ? 수식1 : 수식2;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==> 수식1 : 해당 조건이 참인 경우 실행 문장.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==> 수식2 : 해당 조건이 거짓인 경우 실행 문장.

 

<단항연산자>

 

 

 

<3항연산자>


5. 배정연산자 / 단축배정연산자
    - 배정연산자
      형식) 변수 = 변수 or 값 or 수식;
      - 좌변에는 항상 변수명이 온다.
      - 우변에는 숫자, 변수명, 수식이 온다.
   - 단축배정연산자 : 배정연산자를 간편하게 사용하는 연산자.

 


6. 비트연산자
   - 비트(0,1)를 이용하여 연산하는 연산자.
   - &(and) : 두 비트의 조건이 참(1)인 경우 1을 반환, 그 외에는 0을 반환.
   - |(or) : 두 비트 중 하나만 조건이 참(1)이어도 경우 1을 반환, 그 외에는 0을 반환.
   - ^(xor) : 두 비트 중 서로 다른 경우에만 1을 반환, 그 외에는 0을 반환.

 


7. 쉬프트연산자
   - 비트를 대상으로 왼쪽 / 오른쪽으로 비트를 밀어서 연산을 수행하는 연산자.
   - 왼쪽쉬프트(<<) : 왼쪽으로 비트수만큼 이동하라는 의미.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오른쪽에 비어 있는 빈 칸은 0으로 채워줌.
   - 오른쪽쉬프트(>>) : 오른쪽으로 비트수만큼 이동하라는 의미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왼쪽에 비어 있는 빈 칸은 부호비트로 채워줌.
   - 오른쪽쉬프트(>>>) : 오른쪽으로 비트수만큼 이동하라는 의미.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왼쪽에 비어 있는 빈 칸은 0으로 채워줌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