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Front/CSS13

[CSS3] border 속성 border 속성 : 요소의 테두리 선을 지정할 때 사용하는 속성. - 형식) border: 두께 종류 색상; - 개별적으로 사용하는 속성 * border-width : 테두리 선의 두께 * border-style : 테두리 선의 종류 * border-color : 테두리 선의 색상 - 사용법 - border-style(테두리 선의 종류) none : 테두리 선 없음 hidden : 테두리 선 없음 solid : 실선, 단선(일반선) dotted : 점선(. . . .) dashed : 파선(-------) double : 두줄선 groove : 홈이 파여 있는 선 ridge : 솟은 모양의 선(groove의 반대개념) inset : 요소 전체가 들어간 선 outset : 요소 전체가 나온 선 *[5월].. 2021. 4. 22.
[CSS3] margin과 padding (여백) CSS의 여백 1. margin(요소의 바깥쪽 여백) - 요소와 요소 사이의 여백(거리, 공간)을 생성할 때 사용. - 상단, 오른쪽, 하단, 왼쪽 각각 설정 가능. - 사용법 margin: 10px 20px 30px 40px ==> 상단, 오른쪽, 하단, 왼쪽 margin: 10px 20px 30px==> 상단, [오른쪽,왼쪽], 하단 margin: 10px 20px ==> [상단, 하단], [오른쪽, 왼쪽] margin: 10px ==> [상단, 하단, 오른쪽, 왼쪽] 2. padding(요소의 안쪽 여백) - 단위 : px, em, cm - 사용법 padding: 10px 20px 30px 40px ==> 상단, 오른쪽, 하단, 왼쪽 padding: 10px 20px 30px==> 상단, [오른쪽,.. 2021. 4. 22.
[CSS3] display 속성 display 속성은 웹페이지 상에서 요소들이 어떻게 보여지고 다른 요소와 어떻게 상호 배치 되는지를 결정하는 속성. -display 속성이 inline으로 지정된 요소는 전후 줄바꿈 없이 한 줄에 다른 요소들과 나란히 배치됨. 예) 태그, 태그 -display 속성이 block으로 지정된 요소는 전후 줄바꿈이 들어가 다른 요소들을 다른 줄로 밀어내고 혼자 한 줄을 차지함. 예) 태그, 태그, 태그 -display 속성이 inline-block으로 지정된 요소는 한 줄에 다른 요소들과 나란히 배치됨. inline에선 사용이 불가능한 width, height, margin, padding 속성의 상하 간격 지정이 가능해짐. 회사소개 사업영역 제품문의 고객센터 2021. 4. 22.
[CSS3] em 단위 em 단위 - em은 사용하는 글꼴의 대문자 M을 기준으로 함 - 부모 요소에서 지정한 폰트의 대문자 M을 1em이라는 기준으로 설정을 해놓고 상대적 값을 계산하여 다른 요소들의 글자 크기를 지정함. - 만약 지정한 크기가 없다면 태그의 기본 글자 크기인 16px이 1em의 기준이 됨. 3em의 크기를 가지는 제목입니다. 1em의 크기를 가지는 p태그입니다. 2021. 4. 22.
[CSS3] 블록 레벨, 인라인 레벨 1. 블록 레벨 요소. - 주요 태그 : div, hn, p - 사용 가능한 최대 가로 너비를 사용한다. - 크기를 지정할 수 있음. - whidth : 100%, height : 0%로 시작 ==> default 값 - 수직으로 쌓인다. - margin, padding의 속성에 위, 아래, 좌, 우 사용이 가능하다. - 레이아웃을 설정하는 용도로 사용됨 2. 인라인 레벨 요소. - 주요 태그 : span, img - 필요한 만큼만의 너비를 사용한다. - 크기를 지정할 수 없음. - whidth : 0%, height : 0%로 시작 ==> default 값 - 수평으로 쌓인다. - margin, padding의 속성에 위, 아래, 좌, 우 사용이 불가능하다. - 텍스트를 설정하는 용도로 사용이 된다. .. 2021. 4. 20.
[CSS3] 선택자의 종류(태그, class, id) * 태그 선택자 : 특정 태그를 사용한 요소에 스타일 적용. * class 선택자 : 특정 부분에 스타일 적용. - 같은 클래스의 이름을 여러 요소에 중복해서 적용할 수 있음. 예) class="main_text" ==> .main_text * id 선택자 : 특정 부분에 스타일 적용. - 웹 문서에서 고유한 식별자를 정의할 때 사용. - 대체적으로 큰 골격의 이름에 사용하는 것이 좋음. - 같은 id 이름을 중복해서 사용하지 못함. 하나의 요소에 여러개의 id를 동시에 사용하지 못함. - 대체적으로 상단 헤더, 왼쪽 메뉴, 가운데 컨텐츠 영역, 하단 footer 영역에 사용. 예) id="title" ==> #title 제목1 제목2 본문1 본문2 본문3 본문4 본문5 나보다 동료의 생각이 더 옳을 수.. 2021. 4. 20.